베이징에 살고있는 외국인의 귀국 행렬이 꼬리를 물고, 외출시에는 이제 마스크가 필수 이게 되어버리고 매일 같이 미세먼지 경보가 울린다. 바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때문이다. 현재 가장 큰 문제로 대두 되고있는 미세먼지는 은밀한 살인자로도 불린다. 미세먼지는 현재 가장 큰 사회 문제로도 대두 되고 있을만큼 현재 우리의 삶에 가장 큰 위험을 끼친다. 공기 중의 미세먼지가 가득 메워져서 호흡하는 순간 폐로 흡입 되어서 심각한 호흡기 질환들을 발생시킨다. 호흡기 질환 건강에 데힌 관심도 아주 중요하게 대두된다.
폐와 기관지는 어떻게 구성 되었는가?
기관지는 가장 외부 상층에 위치하는 코 부분부터 가슴 하부 폐까지 연결되는 부위를 칭하며. 맨 위측 부터 코안(비강), 콧구멍, 인두 . 후두덮개 , 성대문 , 기관, 기관지, 세기관지, 허파, 가로막, 허파세정맥, 허파 세동맥, 꽈리(폐포) , 모세혈관 그물 까지 총 14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가장 하부의 존재하는 폐는 허파라고도 불리우는 데 이는 엽(lobe) 으로 이루어지며, 각 엽은 틈새로 나뉘다. 오른 허파의 위엽, 중간엽, 아래엽 은 빗틈새, 수평틈새로 나뉘고, 왼 허파의 위엽, 아래엽은 빗틈새로 나뉘어진다.
그 위쪽에 자리 잡고 있는 기관지는 허파로 들어오는 공기의 통로를 칭하며 기관(trachea)으로 기관에서 기관지(bronchus)로 기관지에서 세기관지(bronchiole)로 세기관지에서 허파꽈리(alveoli) 의 단계로 공기를 흡입한다. 기관지를 통해서 공기를 흡입하는 중에 미세먼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가 있다. 그럴 때는 몸에서 재채기를 하게 유도하는데 이때 상대적으로 큰 물질이 유입되었을때 발생한다. 또 다른 예로는 점액 즉 가래가 생길떄 알 수 있는데 기도에서 분비된 분비물이 먼지를 붙잡고 그때 수 백만개의 섬모(cila)들의 파동 운동으로 점액을 입으로 수송하게 된다. 이때 점액은 약 1~2cm/분 속도로 이동하게 되는데 기관지의 먼지가 목까지 수송되는 데 약 30분 정도가 걸린다.
가장 하단부에 는 허파꽈리가 존재한다. 종말 기관지 역하를 하는 허파꽈리는 작은 거품 모양을 하고 있는데 호흡하는 내내 수축과 팽창을 되풀이 하면서 산소를 확산 시켜서 적혈구와 결합하고 이산화탄소는 꽈리 밖으로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꽈리의 수는 갓난 아이일때는 약 3천만개가 형성되어져 있다가 8살까지 3억개로 증가하고 8살 이후에는 꽈리의 수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꽈리의 지름만 커져서 크기만 증가하는 형태로 성장한다.
폐와 기관지는 어떤 기능을 하는가?
호흡기의 중심인 폐는 산소의 공급과 이산화탄소의 제거 기능을 한다. 인체는 보통 인체 내에 유입되는 부산물들을 4가지의 작용으로 제거 시키는데 소롸되지 않은 배설물(feces)나, 물과 다른 부산물인 배뇨 (urine), 그리고 열을 손실시켜서 체온을 유지시키거나, 매일 0.5kg 이산화 탄소도 제거시키는 데 이때 페가 바로 그 역할을 한다.
폐와 기관지는 심장과도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허파는 산소의 공급과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심혈기관은 산소와 영양분을 여러 곳으로 운송하는 역할응 한다. 때문에 호흡하는 동안 심혈 기관에 산소를 전달하는 하거나 가슴 정맥의 피가 심장으로 되돌아 오게 하기도 한다. 때문에 허파질환이 오게 되면 즉 호흡기관에 문제가 생기면 심장질환이 유발되기도 한다.
폐는 또한 열을 교환하거나 혈액의 ph를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 또는 공기 흐름을 조절하기도 하는데 , 말, 기침 , 재채기, 한숨, 울음, 웃음, 숨쉬기, 하품할때 등 인체가 호흡을 이용하여 하는 모든 부분에 관여를 한다. 때문에 목소리에도 영향을 끼치기도 하는데 호흡 패턴에 의해서 발성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인체는 호흡을 할때 분당 6LT의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이때 이는 심장이 분당 혈액을 뿜어내는 양과도 같다. 그리고 쉬고 있을 때에는 분당 성인 남자는 12번, 성인 여성은 20번, 아기는 60번 정도의 공기의 호흡이 일어나게 된다.
호흡하는 동안 발생하는 흡입공기와 배출 공기에는 변화가 일어나는데 흡입 공기에는 80%의 질소와 20% 산소로 이루어져 있고, 배출 공기에는 80%질소와 16% 산소와 4%의 이산화 탄소로 이루어 진다. 이러한 흡입 배출 공기를 토대로 우리는 기본 성인 기준으로 매일 10KG 정도의 공기를 흡입 하고 이때 매일 허파는 약 400LT의 산소를 흡입 하며 건조한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고 즉 매일 0.5KG의 물을 배출한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액의 흐름과 심혈관계 질환 (0) | 2018.11.10 |
---|---|
심장의 역할과 혈압 (0) | 2018.11.10 |
심장과 혈액 의 기능 (0) | 2018.11.10 |
뼈의 치유와 관절 질환 (0) | 2018.11.09 |
뼈의 모양과 구성물질 (0) | 2018.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