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정보

내시경 검사하는 방법

by bodyart 2018. 11. 24.


시경은 원래는 수술을 하거나 또는 부검 하지 않고서 직접 병변을 볼 수 없는 장기에 대하여 기계를 삽입하여 관찰하도록 고안된 기구이다. 직달경이라고 하여 1개의 통으로 되어 있어서 장기를 직접 육안으로 볼수 있는 형, 렌즈시스템을 이용한 형태, 혹은 카메라를 직접 장기에 삽입하는 형과 유리섬유를 이용한 파이버스코브 등이 있다. 최근 건강검진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내시경 검사도 아주 중요하며 많이 접하게 되는 검사가 되었다. 



내시경 검사 는 무엇인가 ?


내시경 검사에는 최근 위암의 조기발견 진단에 위카메라, 위파이버스코프 등이 크게 활용되고 있다. 위카메라는 위 안으로 소형카메라를 삼입하여 직접 위의 점막을 촬영, 기록하여 미세한 위의 병변을 발견, 진단할 수 있따. 그리고 위파이버 스코프는 해상력이 좋고, 점막상태를 관찰하면서 병변부 조직을 절단하여 검사할 수 있는 장티도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화기, 특히 위에 관한 내시경의 고도발달로 인해 보통 내시경이라고 하면 위카메라, 위파이버스코프를 가리킨다. 


국내에서 방영된 영화 중 '바디캡슐' 이라는 영화가 있었다. 남자 네 명과 여자 한 명이 소형 잠수정에 탑승하고 잠수정의 크기가 미시적으로 줄어든 뒤 누어있는 남자환자의 목동맥에 주사기로 주입된다. 심장을 거쳐 내이로 들어갈 때 매우 약한 소리도 이들을 파괴시킬 수 있는 상황에소 두개골 내부로 가차없이 쳐들어가 목표인 혈전에 도달하여 레이저로 혈전을 파괴 시키는 임무를 수행하는데, 이 영화는 최초로 1966년 미국에서 영화로 제작된 냉전시대 첩보물이자, 내시경의 표본을 처음 영화화 한 사례이기도 하다. 


과학적 상상력의 대가라고 불리우는 아이작 아시모프는 구 소련에서 태생하여 미국 보스턴 의대 생화확 교수로 지내면서 터미네이터와, 아이로봇 등 과학적 상상력을 영화로 담아낸 위대한 작가이자 감독이다. 이러한 과학적 상상력에서 시작하여 우리의 몸을 연구하게 되는 내시경 검사가 탄생하게 되었다.





내시경 검사 시에는 조명용 광원을 내장한 가늘고 유연한 관찰용 관을 사용하며, 이사들이 대장암 선별검사와 같은 시술 중에 암이 의심되는 종양을 제가 하는 데 사용하는 작은 외과적 도구를 장착하고 있다. 굽혀지는 대장 내시경은 대장의 상부를 검사할 수 있고, 따딱한 결장내시경은 대장의 하부만을 검사할 수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대장암은 2007년 미국에서만 154.000건 발생하며 연간 약 52.000명이 사망하는 질병 중 하나이다. 때문에 이에대한 의료기술이 지속적으로 발달되고  있는 추세이고 이 질환을 치료하고 진단해 내는 가장 중요한 검사방법으로 내시경이 사용된다. 관절 내시경 수술은 침습적 방법에서 최소 침습적 방법으로 인해서 이루어 지는 수술이다. 




내시경은 어떤 원리로 진단을 할까?


빛은 공간에서 직진하며 장애물을 만나면 투과(transmitted), 반사(reflected), 또는 흡수(absorbed) 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이 빛의 경로에 따른 성질을 이용하여 내시경 검사와 치료가 이루어진다. 또한 진공에서의 빛의 속도와 매질에서의 빛에 속도에 따라서 굴절률을 계산하여 그 값을 추출해 낸다. 빛은 공기 혹은 유리와 같이 단일 매질에 머무르는 동안에는 직선으로 이동하지만, 물질을 만나면 방향이 바뀔 수 있다. 두 매질 상의 경계를 계면(interface)라고 한다. 


하나의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빛이 가로지를 때 빛의 속도 변화가 입사각에 대한 굴절각의 차이 정도를 결정한다. 마치 자동차가 평탄한 도로에서 진흙으로 이동하는 것과 진흙에서 평탄한 도로로 나갈때 굴절되는 정도로 예를 들어 빛의 굽어지는 굴절 현상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고굴절률(낮은속도) 에서 저굴절률(빠른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 광선이 계면을 통과하여 지나가면서 굴절된 광선은 입사광선보다 더 큰 각도록 굽어져 틀어간다. 입사각이 일정 각도 이상인 경우에는 굴절된 빛이 없으며 들어오는 모든 빛이 반사된다 ( 사실상 마치 완벽한 거울처럼 작용된다) . 이 현상을 전내부 반사라고 일컫는데 광섬유 내시경이 바로 이 전내부 반사를 사용하여 검사를 하게 된다. 


광섬유는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인 다발로 인해 빛의 굴절률을 이용하여 진행이되면, 최소 침습적인 방법으로 진단 및 치료가 진행되게 되고 광섬유는 굽어진 경로에서 매질의 전내부 반사를 사용하여 빛을 전달할 수 있다. 광섬유 다발에서 각 광섬유의 위치를 규칙적으로 배열하면 한쪽 끝에서 보낸 영상정보를 반대측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영상용광섬유 다발을 영상도관이라고 한다. 





'의학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사선 치료  (0) 2018.11.21
방사선과 라돈사태  (0) 2018.11.20
이빈후과 가기 전 알아야할 귀에 대한 정보  (0) 2018.11.11
근육의 구조와 힘  (0) 2018.11.08